미국 반도체 ETF 전망은 우상향?(SOXX, SOXL)
최근 반도체 경쟁으로 떠들석 하다. 반도체 하면 빼놓을 수 없는 ETF SOXX, SOXL 등도 최근들어 큰 상승폭을 보여줬다. soxx는 2021년에만 약 50%가까이 상승했는데, 최근 나스닥이 큰 조정을 받으면서 가격이 많이 하락한 상태다. 그러나 ETF는 단기적 투자가 아니라 장기적으로 보고 들고가는만큼 앞으로 반도체 관련 ETF가 어떻게 될지, 전망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고자 한다.
미국 반도체 ETF SOXX 개요
먼저 반도체 ETF SOXX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SOXX는 2001년에 상장해서 지금까지 21년이 된 ETF로 현재 운용자산은 약 11조원 가량, 운용 보수는 0.43%다. 국내 투자자들도 2021년에만 1500억원을 사들일 정도로 인기가 있다. SOXX는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추종하는로 미국의 30대 반도체 회사에 투자한다. 아래는 SOXX와 QQQ, SPY를 비교한 수익률 그래프인데(2014~현재) SOXX가 상당히 우세한것을 알 수 있다.
미국 반도체 시장은 어떤가?
한국을 대표하는 반도체 회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있다. 반도체도 종류가 있는데 간단히 설명하자면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로 나누어 져 있다고 보면 된다. 대한민국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잘 하는것은 메모리 반도체를 만드는것으로 경기변동에 민감하며 소품종 대량생산이라는 특징이 있다.
반면, 미국이 주력하고 있는 반도체는 시스템 반도체라고 볼 수 있는데 우리가 흔히 아는 엔비디아, 퀄컴 등이 만드는것이 시스템 반도체다. 시스템 반도체는 분야별로 특화된 제품이 있어서 다품종 소량생산이라는 특징이 있고 경기에는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다. 대한민국이 반도체 시장 점유 1위라고 하는것은 메모리반도체를 말하는것이고, 시스템반도체 시장점유율 1위는 인텔, 2위는 TSMC, 3위는 퀄컴 등등 국내 기업은 비중이 적다.
미국 반도체는 우상향?
미국의 반도체 기술이 앞으로도 발전하고 더 많은 수요가 생길것에 대한 근거에 대해 알아보자.
1. 미국경쟁법안 가결
2022년 2월 4일, 미국 하원은 본회의에서 미국경쟁법안을 상정하고 표결실시하여 가결했다. 이는 중국과 미국의 무역, 경제 갈등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반도체 연구, 설계, 제조에 수십, 수백조원을 들여서 반도체 산업을 성장시키겠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국가에서 직접 돈을 쏟아부으며 반도체 산업을 밀어주겠다는 얘기로 볼 수 있겠다.
2. 산업기술 발전에 따른 반도체의 잠재적 수요
코로나 19의 여파로 전 세계는 비대면, 디지털화에 맞닥드리게 되면서 반도체 기술이 빠르게 성장했다. 5G 출시와 전기자동차로의 전환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산업 자체의 디지털화로 인해서 클라우딩 컴퓨터의 성장을 만들어 내고있다. 이러한 산업기술 발전에 따라 그에 맞는 반도체의 잠재적 수요도 상승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미국 투자 리서치회사인 CFRA의 Angelo Zino는 인공지능의 기능을 예로들어 자동체, 의료, 데이터 센터 등 여러 산업에 고성능 반도체가 접목될것이라는 이유로 반도체의 정교함이 발전함에 따라 향후 10년간 슈퍼사이클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한다. 또한, 미국 반도체 장비 공급업체인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는 기술 발전에 따라 반도체 자체의 가지가 증가할것이라고 말한다.
'기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에 대해 알아보자(수령액 확인방법 포함) (1) | 2022.05.08 |
---|---|
유니콘 핀테크 기업 소파이(SoFi) 주가 전망 (0) | 2022.02.10 |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 중국, '차이나 전기차' ETF 알아보기 (0) | 2022.01.20 |
망하지 않는 투자? 미국 ETF QQQ, TQQQ 알아보기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