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에 대해 알아보자(수령액 확인방법 포함)
월급을 받으며 사는 직장인들은 모두 가입된 국민연금. 나의 노후를 보장해준다는 목적으로 내 소득에서 떼어가는 것은 맞지만, 빠져나갈 것 다 나가고 나니 얼마 안 되는 실수령액을 보면 기분이 썩 좋지는 않다. 그리고 최근에는 국민연금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말도 뉴스에 간간이 보이는 것 같고, 내가 지금 내는 돈에 비해서 얼마나 더 받게 될지도 사실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의 의미, 수령액 조회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국민연금의 의미
국민연금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연금 제도로 나이가 많아지거나, 사고 또는 질병 등으로 소득 활동이 어려워졌을 때 대해 기본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연금으로 1988년부터 시행된 제도다. 소득이 있는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사람은 국민연금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며 한국에서는 국민연금공단이 국민연금을 다루고 있다.
국민연금은 공무원(군인, 교사), 저소득층을 제외하고 회사소속 또는 본인 희망에 의한 가입자 등을 대상으로 한다. 국민연금의 목적은 여러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여서 생활을 질을 향상하는 사회보장제도 차원에서 만들었다. 즉, 국민의 안정, 복지를 위한 제도라는 의미다. 그러면 퇴직 후 어느 정도 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을지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예상 연금액을 조회할 수 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들어갈 수 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 https://www.nps.or.kr/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확인하기 위한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국민연금 홈페이지 접속
국민연금 홈페이지 화면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 '클릭'] → [내 연금 알아보기 '클릭']
2. 내 연금 알아보기
내 연금 알아보기 페이지에서 [예산연금액 조회]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 '클릭']
3. 로그인 하여 확인하기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클릭한다면 공동인증서 등 여러 방법으로 본인을 인증해야 한다. 본인을 인증하고 나면 위 사진과 같이 본인의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간단하게나마 알고 넘어가자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표한 내용을 토대로 국민연금의 수익비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출생연도 | 수익비 |
1955 | 3.27 |
1965 | 3.01 |
1975 | 2.70 |
1985 | 2.59 |
1995 | 2.48 |
* 30년 가입 기준
이 말은 1965년생이 30년간 매달 100만 원씩 국민연금을 냈다면, 나중에는 죽기 전까지 매달 301만 원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출생 연도가 늦을수록 수익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 걸 보니 앞으로 수익비가 오를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또한, 최근 들어 불거진 국민연금 고갈에 대한 우려도 있으니, 앞으로는 더욱더 어려워질 수 있을 것 같다.
국민연금 고갈설?
한국경제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90년생부터 국민연금을 전혀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국민연금을 개혁하지 않으면 2055년경 국민연금이 고갈되어 그 해 만 65세가 되는 1990년생부터는 국민연금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내용이다.
현재 직장에 다니고 있는 직장인 기준으로 생각해보자. 국민연금으로 내는 돈은 직장인 월급에서 4.5%, 직장에서 4.5%를 부담하여 돈을 내고 있는데, 소득대체율(평균소득 대비 나중에 받는 돈의 비율)을 40%라고 생각하자. 그러니까, 내가 매달 100만 원을 월급으로 받고 있는데 국민연금은 월급은 9%만큼인 9만 원씩 매달 내면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매달 40만 원씩 받을 수 있냐는 말이다. 이것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어서 나이가 들어서 국민연금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말이 있다. 아니면 누군가가 국민연금으로 매달 내는 금액을 더 많이 내면 가능하겠지만, 언제부터인지 누가 더 낼 것인지에 대해 정해진 것이 없다.
그렇지만 정말로 받지 못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국가가 연금 지급을 중단한 사례는 없으며 최근 국민연금 개편에 대해 논의 중으로 보험료율이나 지급률을 조정하는 방법 등에 대한 이야기가 오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콘 핀테크 기업 소파이(SoFi) 주가 전망 (0) | 2022.02.10 |
---|---|
미국 반도체 ETF 전망은 우상향?(SOXX, SOXL) (0) | 2022.02.06 |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 중국, '차이나 전기차' ETF 알아보기 (0) | 2022.01.20 |
망하지 않는 투자? 미국 ETF QQQ, TQQQ 알아보기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