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투자 방법론

레버리지, 인버스, 곱버스 뜻 정리?

제인도 2022. 1. 25. 21:21

레버리지, 인버스, 곱버스 뜻 정리?

 

 

 

 

최근 들어 금리인상과 더불어 오미크론 확산 등으로 인해 세계 증권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ETF 상품 기준으로 TQQQ는 연초 대비 -33%, SOXL 는 연초 대비 -39% 등 엄청난 손실을 맞고 있다. 그러나, 악조건 속에서도 돈을 버는 사람들이 있듯 레버리지 인버스, 곱버스 상품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레버리지 - Leverage

레버리지(leverage)는 지렛대라는 뜻이다. 쉽게 말하면 지렛대를 사용하는 것 처럼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경제/금융에 사용하면, 내가 가진 돈에 다른 자금을 빌려(빚 등) 투자함으로써 마치 지렛대처럼 내가 가진 돈을 투자할 때 보다 더 큰 수익률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생각해보자. 내가 수중에 100만 원이 있다. 이 돈을 미국 주식에 투자했는데 어느 날 나스닥 지수가 크게 올라서 10% 수익을 내었다고 하자. 그러면 내 자산은 110만 원이 된다. 그러나, 900만 원을 대출받고 내 돈 100만 원과 합친 1,000만 원을 주식에 투자해서 10% 수익을 얻으면 1,100만 원이 된다. 나는 돈을 빌려 레버리지 투자를 통해 내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자산을 2배로 불릴 수 있다.

 

그림 출처 : The Geek Investor

 

이처럼 빌린 돈을 이용해서 투자하면 수익이 날 수도 있고 손실이 날 수도 있는데, 수익이 발생할 때는 '정의 레버리지 효과'라고 부르며 손실이 발생할때는 '부의 레버리지 효과'라고 말한다. 경기가 좋을때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 수익을 냄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주식시장에도 레버리지 투자를 할 수 있는 레버리지 상품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KODEX 코스닥 150레버리지, 삼성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 등 이 있다. 미국에서는 나스닥 100지수를 추종하는 QQQ의 2배 레버리지 상품인 QLD, 3배 레버리지 상품인 TQQQ가 있다.

 

<미국 레버리지 상품>

QQQ : 나스닥 100 지수 추종상품

QLD : 나스닥 100 지수 2배 추종상품

TQQQ : 나스닥 100 지수 3배 추종상품

 

 

인버스

 

인버스는 주가가 하락할 때 가치가 상승하는 상품을 말한다. 주식시장에서 가격 하락에 대비하는 상품으로 우리가 아는 것과 다르게 코스피, 나스닥이 하락하면 인버스 상품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국내 주식시장에도 KODEX 인버스, TIGER 인버스 등 많은 상품을 찾을 수 있다.

 

출처 : Investing.com

 

위 사진은 KODEX200과 KODEX인버스를 비교한 사진이다.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보다는 경향성을 살펴보면, 인버스는 완전히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인버스 상품으로는 주가가 불안정할 때 손실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곱버스

 

곱버스는 인버스에 곱한다는 의미로 인버스에 N배 만큼 추종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장세가 좋지 못하여 인버스로 2배의 수익률을 얻었다고 치자. 만약 2X 곱버스 상품이라면 4배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국내 주식시장에는 2배 곱버스 상품까지 있으나, 미국 증시에는 3배 곱버스 상품도 있다.

 

유명한 상품으로는 미국 나스닥 100지수를 추종하는 QQQ의 인버스 상품인 PSQ가 있고 QID는 2배 인버스, SQQQ는 3배 인버스 상품이다.

 

<미국 인버스 상품>

QSQ : 나스닥 100 지수 인버스

QID : 나스닥 100 지수 2배  인버스

SQQQ : 나스닥 100 지수 3배 인버스

 

 

레버리지를 비롯하여 인버스, 곱버스 같은 투자 방식은 큰 리스크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전문가들이 말하길, 초보자의 경우에 웬만하면 손을 대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다. 어쨋든 모든 투자는 그렇듯 항상 신중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