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의 뜻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금리라는 단어는 뉴스나 신문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일 뿐만 아니라 대출받는다던가 저금을 한다던 가에도 관련이 깊은 단어로 꽤 자주 접할 수 있는 단어다. 당장 오늘 경제신문 헤드라인에도 `금리 변동성 역대 최대`라는 말이 나왔고 포털사이트에 금리와 관련된 수많은 글을 볼 수 있다.
금리가 높으면 대출받을 때 이자를 많이 내야하고 금리가 낮으면 대출받을 때 이자를 적게 내는 정도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지만, 시장금리, 기준금리, 명목금리 등 금리에도 종류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금리의 종류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금리의 뜻
사전적인 의미에서 금리는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로 정의한다. 흔히 생각하듯, 금리가 높다면 내가 돈을 빌려서 이자를 많이 내야 하는 것이고, 금리가 낮으면 돈을 빌렸을 때 이자를 적게 내도 된다는 정도로 이해할 수 있겠다. 이외에도 돈의 가치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옛날에는 짜장면 한그릇에 몇백원을 받다았지만 지금은 몇천원 수준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돈을 빌려주는 상황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돈의 가치가 올라갈 것이라 생각하여 이자를 받아내는것을 금리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금리는 생각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이 되고 실질금리, 기준금리, 명목금리 등등 여러 가지 종류도 존재한다.
최근 유튜브를 보다가 2019년 SBS에서 방영했던 경제 관련 프로그램을 다시 보게 되었는데, 거기에 좋은 표현이 있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금리를 다음과 같이 비유한다.
1. 금리는 가격이다.
금리는 가격의 할인율과 같다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10만 원 짜리 물건이 있다. 10만 원 짜리 물건을 10% 할인하여 사면 9만 원인데, 이때 10% 할인되는 것이 금리라고 할 수 있다.
가격 | 금리 | 가격 | 금리 | 가격 |
9,524 | 5% | 10,000 | 5% | 10,500 |
금리가 오르면 우리가 받게 될 돈이 많아진다고 생각하는 것은 은행 예금에서 계산하는 이자의 방식이고, 일반적으로 경제학에서 금리라 하면 10,000원짜리를 5% 할인하여 지금 살 수 있는 금액인 9,524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2. 금리는 경기다.
금리는 경기와 관계된다는 말이다. 국가의 경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시중에 돈이 너무 없다면 금리를 인하함으로써 유통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을 말할 수 있다.
금리의 종류
금리는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는데 그 종류만 해도 성격, 관점 등에 의해 여러 가지로 나뉜다. 아래는 여러 가지 금리의 종류 중 자주 접하거나 사용될 만한 것들에 대해 설명을 적어놓았다.
- 기준금리
기준금리는 국가의 중앙은행(한국으로 치면 한국은행)이 결정하는 금리를 말하며 여러 가지 금리의 적용에 기준이 된다.
- 시중금리
중앙은행과 정부금융기관 외 민간금융기관이 실제로 사용하는 금리로, 쉽게 생각하자면 은행에서 대출금리를 말한다.
- 명목금리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지 않은 금리로 일반적으로 은행에서 저축할 때 말하는 금리다. 돈을 맡겨뒀을 때 명목금리보다 물가상승률이 더 높으면 나에게 손해가 된다는 개념이다.
- 실질금리
명목금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금리다.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것이 실질금리다.
- 고정금리
은행에서 대출받거나 상품에 가입했을 때 시중금리가 변할지라도 금리가 바뀌지 않는 것을 말한다.
- 변동금리
고정금리와 반대로 은행에서 대출받거나 상품에 가입했을 때 금리가 계속 바뀔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금리의 뜻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금 기준금리를 지속해서 올리는 상황인지라 뉴스에서는 연일 보도를 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투자활동이나 경제 공부를 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임에도 많이 헷갈리고 개념이 와닿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이 글이 이해에 도움이 되면 좋겠다.
'투자 전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금리와 한국금리의 관계, 금리가 어떤 영향을 줄까 (0) | 2022.05.07 |
---|---|
변동성완화장치(VI)의 의미와 뜻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4.03 |
제약회사의 신약 개발 과정(주식 사도 되나?) (2) | 2022.03.28 |
문신한 회장님? 엔비디아 CEO 젠슨 황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2.03.25 |
주식 리포트 용어(YoY, QoQ, MoM, %p) 알아보기 (1) | 2022.03.13 |